외부 설정 각종 설정값들을 application의 안이나 밖에 정의하는 기능으로 application.properties와 같은 설정 파일을 이용해서 설정해줍니다. application.properties는 스프링 부트가 구동 시 자동으로 로딩하는 해주는 설정 파일입니다. application.properties 내부에 정의된 값들은 @Valu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사용가능합니다. 아주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값을 정확히 써야하므로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. @Value를 사용한 방법 application.properties에 dibtd.name = dibtd 를 작성하고 @Value를 통해 확인하면 @Component public class SampleRunner implements Applica..
스프링 부트 핵심 기능 다음 스프링 부트의 여러 핵심 기술 중 application을 시작하는 SpringApplication class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SpringApplication class는 패키지 최상단에서 aplication을 실행하는 메인이 존재하는 클래스입니다. 이 SpringApplication 클래스에서는 스프링 부트 실행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log level 변경, 배너 변경, 애플리케이션 이벤트, 웹 어플리케이션 타입 변경 ... 등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아마 처음 스프링 부트를 하시는 거면 다음과 같은 메인 메소드와 스프링 부트를 실행하는 메소드가 있는 클래스를 만들고 사용하게 될 텐데요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..
스프링 부트는 왜 사용할까요? spring boot를 사용하는 이유는 쉬운 자동 설정, 의존성 관리, 내부 servlet container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. 오늘은 Auto Configuration(자동 설정)과 Easy dependendency Management(의존성 관리)의 동작 매커니즘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. 의존성 관리 다른 프레임워크를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프로젝트에서 여러 library를 가져올 때 각각의 버전을 명시해주고 또 서로 호환이 되는 지 안되는 지도 찾아봐야하고.. 상당히 귀찮은 작업들을 직접 해줘야 합니다. 하지만 스프링 부트에서는 spring-boot-starter-*에 스프링 부트 버전에 맞는 여러 library들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습니다. 모든 library가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oauth
- 정렬
- CodeDeploy
- 자동화
- 가상환경
- stack
- spring boot
- AWS
- ci/cd
- 알고스팟
- 배포
- 리액트
- Union-FInd
- 알고리즘
- 선택정렬
- react
- 병합정렬
- 백준
- 라이프 사이클
- 삽입정렬
- 스프링 부트
- 합병정렬
- RDS
- 퀵 소트
- 다익스트라
- 계수정렬
- greedy
- EC2
- 서버
- 버블정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